The APICULTURAL SOCIETY OF KOREA
[ Original research article ]
Journal of Apiculture - Vol. 36, No. 3, pp.189-194
ISSN: 1225-0252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1
Received 23 Jul 2021 Revised 30 Aug 2021 Accepted 23 Sep 2021
DOI: https://doi.org/10.17519/apiculture.2021.09.36.3.189

수벌번데기 추출물에서 알코올분해효소 활성조사

김선미 ; 김세건 ; 김효영 ; 우순옥 ; 최홍민 ; 문효정 ; 한상미*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Detection of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in Extract of Drone Pupa
Seonmi Kim ; Se Gun Kim ; Hyo-Young Kim ; Soon Ok Woo ; Hong-Min Choi ; Hyo Jung Moon ; Sang Mi Han*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stration, Wanju 55365,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 * E-mail: sangmih@korea.kr

Abstract

The effects of drone pupa have been recorded worldwide since about seven hundred years ago.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scientific evidence. In response, this study evaluates the activity of ADH, one of the liver health-related functional evaluation biomarkers, in drone pupa extracts. ADH activity was assessed for two fractions (Hexane, water) of the drone pupa. These samples were manufactured using two solvents and had a difference in the time of dissolving the extract samples. According to our results, ADH activity of water fraction was higher than hexane fraction. Using DMSO as a solvent, the highest ADH activity of hexane fraction was 120 minutes, and the water fraction was 180 minutes. The difference of ADH activity between hexane fraction and water fraction were 23.58 mU/mL and 35.04 mU/mL,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drone pupa extracts showed ADH activity, which is expected to be a diet supplement that can help with alcohol metabolism and drug metabolism.

Keywords:

ADH activity, Drone pupa extract, Diet supplement

서 론

전 세계적으로 2000종의 다양한 곤충이 세계 여러 나라에서 소비되고 있다 (Kim et al., 2019). 우리나라는 메뚜기, 누에, 백강잠에 대한 전례적 식용 근거가 있으며 갈색거저리 유충, 쌍별귀뚜라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장수풍뎅이 유충이 2016년 식품원료로 허가된 바 있다 (Park. et al., 2012; Choi et al., 2020; Park et al., 2021). 또한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과 수벌번데기가 최근 한시적 식품 원료로 허가를 받았다. 수벌번데기는 우리나라 동의보감에서 그 약효를 기록한 바 있으며 중국에서는 신농본초경, 본초강목에서 그 약리 작용 및 영양적 평가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또한 미국, 유럽에서 고단백 영양식으로 식용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식용 벌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이처럼 세계 여러 나라에서 약리작용 및 영양학적 근거자료를 찾아볼 수 있으며 근래 약리작용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는 노력을 하고 있으나 (Choi et al., 2009; Kim et al., 2018) 아직 과학적 근거는 부족한 실정이다.

꿀벌 (Apis mellifera L.)은 여왕벌, 일벌, 수벌로 나뉘며 이들은 각각 형태와 크기, 역할이 나뉘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벌통 1개에 약 300에서 3000마리의 수벌이 존재한다. 수벌의 성충은 여왕벌보다는 작지만 일벌보다는 2~3배 크다. 또한 이들은 여왕벌과 일벌과 달리 벌침이 없고 여왕벌과의 교미 외에 역할이 없다. 이러한 수벌은 최근 과거의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양봉농가의 새로운 수입원의 다양화를 위한 연구로 식품원료로서의 개발이 진행되었다. 이후 국내에서 사육되는 Apis mellifera L. strain의 수벌번데기는 비타민, 무기질, 고단백질 식품으로 보고되었을 (Kim et al., 2018) 뿐만 아니라 식품원료로서의 안전성도 확보하였다 (Choi et al., 2019).

Alcohol dehydrogenase (ADH)는 세포질에 존재하며 사람의 경우 7개의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다. 이 중 5개의 ADH 유전자형이 간에 가장 많이 분포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ADH는 ethanol의 가역적 산화를 촉매하며 레티놀, 지방산, ω-hydroxy fatty acids, 3β-hydroxy-5-β-steroids, 4-hydroxy-3-methoxyphenyl ethanol같은 많은 endogenous 기질의 대사 및 몇몇 약품들과 그 대사 산물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Di et al., 2021).

2020년 수벌번데기가 한시적 새로운 식품원료로서 허가 받은 이래로 수벌번데기의 풍부한 영양소와 안전성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식품제형으로 개발가능성을 탐색하고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우리는 수벌번데기를 대상으로 여러 기능성 식품원료로서의 평가 마커들 중 간 건강 관련 기능성 평가 바이오마커의 하나인 ADH 활성을 알아보고자 수벌번데기 70% 에탄올 추출물의 헥산분획물과 물 분획물을 대상으로 ADH 활성을 알아보았다.


재료 및 방법

1. 수벌번데기

수벌번데기는 2019년 양봉농가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이는 채취 후 즉시 -20℃ 냉동고에 보관한 것으로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Kim et al., 2019).

1) 수벌번데기 추출분획물

수벌번데기 추출분획물은 먼저 수벌번데기 동결건조 분말시료에 70% 에탄올을 넣고 3시간 동안 Sonicator를 이용해 분말시료를 녹인 후 rotary vacuum evaporator를 사용하여 40℃에서 감압농축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이후 Fig. 1과 같이 용매의 극성에 따라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물 순서로 분획물을 얻어 각각을 감압농축하여 수벌번데기 분획추출물을 제조하였다 (Kim et al., 2020).

2. Alcohol dehydrogenase (ADH) activity 측정

수벌번데기 분획물의 ADH activity를 알아보기 위하여 ADH detection assay kit (Abcam, UK)를 사용하였고 제조회사의 방법에 따라 실험하였다. 수벌번데기의 분획물 중 헥산 분획물과 물분획물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시료를 100 mg/mL의 농도로 Dimethyl sulfoxide (DMSO)와 멸균증류수에 30, 60, 90, 120, 150, 180 min 동안 녹여 제조하였다. 이때 용해되지 않은 추출물은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분리하여 ADH 활성을 조사하였다. 각 시료는 96 well plate에 시료와 kit에서 제공하는 양성대조군, 표준물질에 reaction mix를 넣어주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3. 데이터분석

% ADH activity 는 양성대조군 OD 값 대비 시료 OD 값의 백분율로 계산하여 얻었다 (OK et al., 2014). ADH 대사과정 중 생성되는 NADH의 양을 측정하는 ADH 활성은 표준물질 NADH의 정해진 농도에 따라 측정된 OD 값을 plotting하여 얻은 회귀식을 이용하여 결과를 얻었다. 모든 실험은 3 반복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로 표기하였고 NADH 표준물질을 사용하여 각 농도에 대한 흡광도 값으로 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식을 구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각 시료 간의 유의적 변화를 t-test로 분석, 판정하였다 (*p<0.05, **p< 0.01, ***p<0.001).


결 과

1. 수벌번데기 분획추출물의 % ADH activity

수벌번데기 동결건조 분말시료를 대상으로 용매에 따라 얻은 추출물들 (Fig. 1) 중 헥산분획물과 물분획물을 DMSO와 멸균증류수에 녹여 얻은 시료에 대하여 ADH activity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벌번데기 헥산분획물을 DMSO에 녹였을 때 시간에 따른 활성은 109.15, 93.76, 116.54, 121.74, 96.55, 89.16%로 나타났고 동일조건에서 물 분획물을 DMSO에 녹였을 때 활성은 101.51, 161.60, 190.79, 215.75, 209.93, 228.83%로 나타났다. 용매를 증류수로 하였을 때 헥산분획물 ADH 활성은 92.55, 87.95, 86.01, 106.60, 99.94, 79.71%로 나타났고 물분획물은 114.23, 112.66, 111.45, 110.84, 111.69, 116.05%로 나타났다. 물분획물은 헥산분획물보다 ADH activity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물분획물은 용매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DMSO에 녹인 시료의 경우 30 min에서도 양성대조군과 비슷한 활성을 보였으며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활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증류수에 녹였을 때는 모든 시간에서 거의 같은 활성을 보이는 결과를 얻었다. 헥산분획물에서도 ADH activity는 보였으나 물분획물보다는 적게 나타났으며 물을 용매로 하였을 시 활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Fig. 2, Table 1). 이때 용해 시간에 따른 차이에 대한 유의성을 나타내는 p 값은 60 min 일 때 p=0.035, 90 min일 때 p=1.95×10-5, 120 min일 때 p=7.91×10-6, 150 min일 때 p=0.0005, 1800 min일 때 p=6.2×10-6이었다.

Fig. 1.

The schematic diagram of fractionation of drone pupa (Apis mellifera L.).

Fig. 2.

Percentage of ADH activity for the fraction of drone pupa dissolved in DMSO and H2O. ADH activity assay was performed using ADH detection kit (ab102533, abcam). The Samples consist of hexane fraction and water fraction of drone pupa extract using DMSO and distilled water. Each 0.5 g of the fractions was placed in a conical tube, 5.0 mL of DMSO was added and vortexed vigorously. Then, the extracts agitated to dissolve for 30, 60, 90, 120, 150, 180 min. A reaction mixture was added to the sample and positive control, provided with the kit, incubated the plate for an hour at 37℃, and read the absorbance at 450 nm in a plate reader (Molecular Device, US) and expressed the result as the percentage ADH activity compared to positive control. T-test was used to calculate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p≤0.01; ***p≤0.0001.

Percentage of ADH activity for the fractions of drone pupa dissolved in DMSO and H2O

2. 수벌번데기 분획추출물 ADH activity

먼저 수행한 % ADH activity 측정 결과 헥산분획물보다 물분획물에서 활성이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동일 시료, 수벌번데기 추출물에서 헥산분획물과 물분획물을 동일 용매, DMSO와 증류수에 녹여 얻은 시료를 대상으로 ADH의 대사 산물인 NADH 생산 정도에 따라 그 활성을 측정하였다. 물분획물에서 ADH 활성은 DMSO로 녹였을 때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26.94±0.14 mU/mL에서 58.88±1.09 mU/mL로 나타났고 헥산분획물은 120 min에서 32.02±0.87 mU/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증류수에 녹였을 때 헥산분획물은 120 min에서 28.22±3.67 mU/mL을 보였고 물분획물은 시간에 따른 영향은 크지 않았다 (Fig. 3, Table 2). DMSO 용매에 녹인 헥산분획물의 활성이 가장 높은 120 min에서 수층분획물과의 ADH 활성 차이는 약 23.58 mU/mL의 차이를 보였고 물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이는 180 min에서는 35.04 mU/mL의 차이를 보였다. 반면 물을 용매로 하였을 때 헥산분획물 활성이 높게 나타난 120 min에서 물분획물과의 ADH 활성차는 약 1.06 mU/mL로 서로 간의 차이가 크지 않음을 양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3.

Regression analysis of the absorbance for NADH concentration. To investigate the ADH activity of the drone pupa, add the NADH standard into a 96 well plate in duplicate to generate 2, 4, 6, 8, 10 nmole/well. A reaction mix was added to each well containing the standard. Incubated the mix for 3 min at 37℃, then measure absorbance at 450 nm in a microplate reader (A0). Then incubated for another one hour at 37℃ and measure OD at 450 nm again (A1). Plotting of the absorbance for each NADH concentration yield a regression formula of y=15.407x+0.5048. The regression constant R2 was calculated to be 0.9994.

ADH activity for the fractions of drone pupa t dissolved in DMSO and H2O


고 찰

수벌번데기 헥산분획물과 수층분획물에서 ADH 활성을 조사한 결과 용매에 따라 또한 용매에 녹이는 시간에 따라 ADH activity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각 분획물에서 ADH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의 최적 용출시간을 알아보고자 180 min 동안 실험한 결과 DMSO에 녹인 경우 헥산분획물의 ADH 활성이 높았던 시간은 90 min과 120 min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것으로 보아 헥산분획물 내에 존재하는 ADH 활성을 보이는 성분이 용출될 수 있는 시간이 2시간 정도 필요한 것으로 보였다. 반면 물분획물은 시간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물분획물에 ADH 활성을 보이는 다양한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위한 성분분석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물을 용매로 하였을 때 헥산분획물은 대조군 이상의 활성을 보기 어려웠으며 물분획물은 시간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최소 시간인 30 min에도 대조군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수벌번데기 분획물에서의 ADH activity를 양성대조군 대비 활성 비교와 37℃에서 분당 1 μmol의 NADH을 생산하는 ADH의 양으로 정의하여 이를 1 unit로 표현한 ADH 활성 결과를 통하여 물분획물에서 ADH 활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수벌번데기 70% 추출물에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을 이용한 분획 외에 물분획물에 좀 더 ADH 활성을 보이는 성분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다른 분획물과의 비교분석과 함께 물분획물의 성분분석 연구를 더 진행해 봐야 정확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수용성 용매에서 용출되는 성분들에 대하여 특정되는 결과는 수벌번데기의 다양한 생리활성 조사를 위한 세포실험 및 동물실험에 있어서 용매에 대한 독성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간의 주된 기능은 소화물질 분비 및 대사과정에서 만들어지는 독성물질을 해독하는 기관이다. 간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ADH는 알코올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세포 내 다양한 기질 대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ADH는 알코올 섭취에 의한 알코올 대사에 관여할 뿐 아니라 abacavir (HIV/AIDS), hydroxyzine (antihistamine), ethambutol (antituberculosis) 약제의 알코올기 대사와 근래 사용되는 Celecoxib이나 Cyclophosphamide 같은 약제들의 대사에도 관여한다는 보고가 있다 (Di et al., 2021).

현재 알코올성 손상으로부터 간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인정되는 원료는 2가지가 있고 이외에 간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인정된 원료는 8종이 있다 (Sohn et al., 2016; Lee et al., 2020). 이들 원료는 주로 식물성 원료들이다. 그러나 복어, 홍합, 전복 등과 같은 동물성 원료의 추출물에서의 ADH 활성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인정된 원료는 없다 (Shin et al., 2008; OK et al., 2014; Kim et al., 2016).

지금까지 수벌번데기에 대한 영양학적 보고에 의하면 높은 단백질과 지방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고단백식이가 필요한 환자나 노인, 유아에게 좋은 식품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Kim et al., 2018) 또한 이 연구 결과를 통해 ADH 활성을 보이는 수벌번데기 추출물이 알코올 대사와 약제 대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간 대사 보조 기능을 갖는 식품원료로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사업 (과제번호: PJ01512902)에 의하여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 손문기. 2016.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인정 현황. 식품의약품안전처. 발간등록번호, 11-1471000-000047-14.
  • 이동희. 2020. 건강기능식춤 기능성 평가가이드. 식품의약품안전처. 발간등록번호, 안내서-0133-02.
  • Choi, H. M., S. M. Han, H. Y. Kim, S. O. Woo, S. G. Kim, K. W. Bang and H. J. Moon. 2019. Investigation of Heavy Metals from Honeybee Drone Pupa (Apis mellifera L.) as an ingredient for novel food. J. Apic. 34(4): 273-277. [https://doi.org/10.17519/apiculture.2019.09.34.3.273]
  • Choi, Y. J., M. Fan, E. K. Kim, S. B. Lee, Y. H. Hwang, Y. H. Jang and S. M. Bae. 2020. In vivo assessment of the nutritional value of Allomyrina dichotoma larva protein as future protein resource. Korean J. Food Sci. Technol. 52(6): 610-615.
  • Choi, Y. S., M. L. Lee, M. Y. Lee, H. K. Kim, K. G. Lee, J. H. Yeo and S.O. Woo. 2009. Management for high quality drone products. J. Apic. 24(1): 1-7.
  • Di, L., A. Balesano, S. Jordan and S. M. Shi. 2021. The role of alcohol dehydrogenase in drug metabolism: beyond ethanol oxidation. AAPS J. 23: 20. [https://doi.org/10.1208/s12248-020-00536-y]
  • Kim, H. Y., S. O. Woo, S. G. Kim, K. W. Bang, H. M. Choi, H. J. Moon and S. M. Han. 2019. Analysis of oxidative stability in drone pupae (Apis mellifera L.). J. Apic. 34(1): 63-66. [https://doi.org/10.17519/apiculture.2019.04.34.1.63]
  • Kim, H. Y., S. O. Woo, S. G. Kim, H. M. Choi, H. J. Moon and S. M. Han. 2020. Antioxidant and antihyperglycemic effects of honeybee drone pupae (Apis mellifera L.) extracts. J. Apic. 35(1): 33-39. [https://doi.org/10.17519/apiculture.2020.04.35.1.33]
  • Kim, M. J., S. W. Lim, H. J. Ahn, J. Jun and M. J. Kang. 2016. Effect of fruit-vegetable juices containing Angelica keiskei on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in vitro. KSBB Journal 31(1): 8-13. [https://doi.org/10.7841/ksbbj.2016.31.1.8]
  • Kim, S. G., S. O. Woo, K. W. Bang, H. R. Jang and S. M. Han. 2018. Chemical composition of drone pupa of Apis mellifera and its nutritional evaluation. J. Apic. 33(1): 17-23. [https://doi.org/10.17519/apiculture.2018.04.33.1.17]
  • Kim, T. K., H. I. Yong, Y. B. Kim, H. W. Kim, and Y. S. Choi. 2019. Edible insects as a protein source: a review of public perception, processing technology, and research trends. Food Sci. Anim. Resour. 39(4): 521-540. [https://doi.org/10.5851/kosfa.2019.e53]
  • OK, D. L., S. K. Kim and S. C. Lee. 2014.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of blue mussel and several plants or alcohol metabolizing enzymatic, antioxidant,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Korean J. Food Cookery Sci. 30(5): 613-619. [https://doi.org/10.9724/kfcs.2014.30.5.613]
  • Park, I. S., H. Y. Lim, S. I. Jeong and C. H. Jung. 2021. Biological activity of fermented Gryllus bimaculatus extracts. Kor. J. Pharmacogn. 52(2): 92-98.
  • Park, J. H., S. Y. Kim, M. Kang, M. Yoon, Y. I. Lee and E. Park. 2012. Antioxidant activity and safety evaluation of juice containing Protaetia brevitars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1): 42-48. [https://doi.org/10.3746/jkfn.2012.41.1.041]
  • Park, Y. K., Y. C. Choi, Y. B. Lee, S. H. Lee, J. S. Lee and S. H. Kang. 2012. Fecundity, life span, developmental periods and pupal weigh of Tenebriio molitor L (Coleoptera: Tenebrionidae). J. Seric. Entomol. Sci. 50(2): 126-132. [https://doi.org/10.7852/jses.2012.50.2.126]
  • Shin, J. H., S. J. Lee, D. J. Choi, M. J. Kang and N. J. Sung. 2008. Antioxidant and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of water extracts from abalone containing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2): 182-187.

Fig. 1.

Fig. 1.
The schematic diagram of fractionation of drone pupa (Apis mellifera L.).

Fig. 2.

Fig. 2.
Percentage of ADH activity for the fraction of drone pupa dissolved in DMSO and H2O. ADH activity assay was performed using ADH detection kit (ab102533, abcam). The Samples consist of hexane fraction and water fraction of drone pupa extract using DMSO and distilled water. Each 0.5 g of the fractions was placed in a conical tube, 5.0 mL of DMSO was added and vortexed vigorously. Then, the extracts agitated to dissolve for 30, 60, 90, 120, 150, 180 min. A reaction mixture was added to the sample and positive control, provided with the kit, incubated the plate for an hour at 37℃, and read the absorbance at 450 nm in a plate reader (Molecular Device, US) and expressed the result as the percentage ADH activity compared to positive control. T-test was used to calculate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p≤0.01; ***p≤0.0001.

Fig. 3.

Fig. 3.
Regression analysis of the absorbance for NADH concentration. To investigate the ADH activity of the drone pupa, add the NADH standard into a 96 well plate in duplicate to generate 2, 4, 6, 8, 10 nmole/well. A reaction mix was added to each well containing the standard. Incubated the mix for 3 min at 37℃, then measure absorbance at 450 nm in a microplate reader (A0). Then incubated for another one hour at 37℃ and measure OD at 450 nm again (A1). Plotting of the absorbance for each NADH concentration yield a regression formula of y=15.407x+0.5048. The regression constant R2 was calculated to be 0.9994.

Table 1.

Percentage of ADH activity for the fractions of drone pupa dissolved in DMSO and H2O

Dissolving time (min) Percentage of ADH activity
Hexane fraction Water fraction
DMSO H2O DMSO H2O
30 109.15±19.74 92.55±1.11 101.51±0.56 114.23±3.82
60 93.76±22.69 87.95±3.47 161.60±2.58 112.66±0.73
90 116.54±4.60 86.01±8.21 190.79±2.97 111.45±2.22
120 121.74±3.47 106.60±14.61 215.75±4.31 110.84±2.27
150 96.55±5.80 99.94±10.85 209.83±18.68 111.69±2.78
180 89.16±6.40 79.71±36.69 228.83±4.34 116.05±0.56

Table 2.

ADH activity for the fractions of drone pupa t dissolved in DMSO and H2O

Dissolving time (min) ADH activity (mU/mL)
Hexane fraction Water fraction
DMSO H2O DMSO H2O
30 28.86±4.95 24.69±0.28 26.94±0.14 30.13±0.96
60 25.00±5.69 23.54±0.87 42.01±0.65 29.74±0.18
90 30.71±1.15 23.05±2.06 49.34±0.75 29.43±0.56
120 32.02±0.87 28.22±3.67 55.60±1.08 29.28±0.57
150 25.70±1.45 26.55±2.72 54.14±4.69 29.49±0.70
180 23.84±1.61 21.47±9.20 58.88±1.09 30.59±0.14